간경변증 이란?

간경변증이란 만성 간질환이 계속되어 거듭되는 간조직의 손상과 염증세포의 침윤과 섬유화에 의해 두꺼운 섬유질이 형성되고, 살아남은 간세포는 재생과정을 통해 재생결절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간이 자갈이 모인 것처럼 딱딱하게 굳어서 정상 간으로 돌아 갈 수가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간조직의 어느 한부분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나타나며, 재생결절의 크기에 따라 미소 결절성 간경변증, 거대 결절성 간경변증, 및 혼합형 간경변증 등으로 구분합니다.

원인은 여러 질환이 있을 수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만성 B형 간염이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간경변증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환자는 임상증상도 뚜렷하지 않고 혈액 화학검사에서도 거의 정상소견을 나타내지만, 간경변증의 정도가 심해지게 되면 황달, 복수, 간성뇌증, 식도정맥류 출혈, 간신증후군 등의 합병증 등이 발생합니다. 합병증이 없는 간경변증의 5년 생존율은 70%인데 비하여 합병증이 있는 경우에는 30~40%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간경변증 환자의 치료는 합병증을 효율적으로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역점을 두며, 간경변증이 더욱 악화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입니다.

간경변증의 원인

간경변증에 이르게 하는 원인은 많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만성 B형 간염이 가장 흔하며, 최근에는 알코올성 간질환이나 만성 C형 간염에 의한 경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바이러스 성 간염(B형, C형, D형)
자가 면역성 간염
술에 의한 간염
약물에 의한 간염
지방간, 지방간염
대사성 장애 (윌슨병, 헤모크로마토시스 등)
담도계 질환 (담도폐쇄,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등)
간정맥 폐쇄 질환 (버드-키아리 증후군, 심장 질화에 의한 만성 울혈 등)

그 외에도 소장 우회수술을 받은 환자, 심한 영양실조 등 여러가지 질환이 있습니다.

임상증상 및 진단

중요한 임상증상은 첫째로 간 손상이 점차 심해져 몸이 필요로 하는 만큼의 일을 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간 기능부전에 의한 합병증과, 둘째로 문맥압 항진증(또는 문맥 고혈압)에 의한 합병증입니다.

문맥압 항진증이란 간으로 들어가는 정맥혈액은 문맥이라는 혈관을 통해 들어가는데 간이 딱딱하게 굳어서 혈류가 장애를 받게 되고 그 결과로 문맥내의 혈압이 현저히 증가되어 생기는 여러 현상입니다. 문맥압 항진으로 간으로 가야할 혈액이 엉뚱한 다른 혈관으로 흐르면서 식도, 위, 소장 등의 정맥이 확장되는데 이것을 정맥류라 합니다. 대개 간경변증이 진행하면서 이런 정맥류도 점차 심하게 팽창하게 되고, 결국 파열하게 되어 출혈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복수는 간 기능저하에 의한 알부민 감소, 문맥압 상승, 염분의 과잉섭취 등으로 생기는데 배가 팽만되고 다리부종도 동반됩니다. 복수에 세균 침범이 되어 염증이 생기면 복막염이 되기도 합니다. 또한 면역기능의 저하로 감염이 쉽게 생길 수 있습니다.

간성뇌증도 생기는데 이는 장에서 흡수된 혈액이 간을 통과하지 않고 비정상적인 정맥류를 통해 직접 심장으로 들어가거나, 간기능 장애가 점차 심해져서 간에서 노폐물의 대사를 충분히 하지 못해 발생되는 독성 물질이 심장을 통해 뇌로 들어가 뇌기능을 억제하여 생기는 현상으로 여러 정신신경학적 증세가 나타납니다.

평소에는 정상인 사람이 갑자기 수면 장애가 발생하거나, 잠이 많아지고 말수가 적어지거나 현재의 장소나 사람 이름을 기억하지 못하든지, 불안, 초조해하고 흥분하거나 착란을 일으키다가 싶은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습니다. 또한 심한 복수와 함께 소변의 감소와 신부전 증세를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